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TIL 0423(DTO/DAO/MVC)

DTO(Data Transfer Object) 

계층간 데이터 교환을 위한 객체. 

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얻어와 service/controller 등에 전달할 때 사용된다. 

가져온 데이터를 비즈니스 로직에서 처리하기 위해 DTO 객체로 변환하고, 다시 데이터베이스나 외부 시스템에 전달한다. 

DTO는 보통 불변하고, 필드를 가지고 있는데, 이 필드에 필요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. 

request와 response용 DTO는 view를 위한 객체이다.

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, 간결하고 명확하게 작성할 수 있다. 

DAO(DataTransfer Object) 

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데이터베이스에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는 객체. 

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해서 검색/삽입/갱신/삭제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. 

비즈니스 로직과 데이터액세스 로직을 분리하여 유지보수성과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. 

데이터베이스의 코드를 캡슐화하고, 세부 구현을 추상화하여 의존성을 낮추는데도 기여한다. 

MVC(Model-View-Controller)

디자인 패턴 중 하나로,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요소를 3가지 역할로 구분한다. 

model : 사용되는 데이터와 데이터를 처리하는 로직 

view :  사용자가 보는 화면 

controller: model과 view 사이의 연결고리 역할 

컨트롤러에서 사용자 요청을 받아, 모델에서 데이터를 들고오고 뷰에 전달한다. 

 

유지보수가 용이하고, 확장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.